요로 결석 증상 및 원인과 치료, 검사

요로 결석

소변이 생기고 배출될 때까지의 경로를 요로라고 부르지만, 그 어딘가에서 몸에 불필요해진 물질이 결정 또는 돌처럼 변하여 소변이 흐르는 통로에 존재하게 된 상태를 요로 결석이라고 합니다. 결석의 대부분은 신배, 신우, 방광으로 형성되지만, 결석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신결석, 요관결석, 방광결석 등으로 불리고 있습니다다.

결석이 요로를 막으면 격렬한 통증이 발생하며, 또 세균 감염이 일어나면 고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요로 결석을 장기간 방치하면 신장에 부담이 걸려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다. 요로 결석은 재발을 반복하는 사람도 많은데, 이 경우에는 결석의 성분을 조사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참고로 요로 결석은 나이가 많은 남성과 폐경 후 여성에게 많은 질병입니다.

요로 결석 원인

요로 결석은 무언가 하나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고, 요로의 통과 장애, 감염, 수면 중 골절, 동물성 단백질이나 지방의 과잉 섭취, 내분비 또는 대사 이상 등 다양한 경우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절반 이상은 원인 불명의 특발성 결석증이라고 불리며, 매우 미미하지만 유전성이 존재합니다.

또, 뼈의 칼슘이 혈중으로 이행하면 혈액의 칼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여 결석이 생기기 쉬워지는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도 요로 결석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요로 결석 증상

요로 결석의 크기와 증상의 심각성은 딱히 일치하지 않습니다. 신내에 있는 결석의 대부분은 무증상으로 경과하기 때문에 몇 cm 단위로 성장하는 일이 많습니다. 결석이 요관에 생기면 옆구리나 하복부에 갑자기 심한 통증이 생길 수 있는데, 주로 야간이나 이른 아침에 일어나는 일이 많으며 통증은 2 ~ 3시간 정도 계속되고, 몇 분 간격으로 통증의 강약에 파도가 치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변의 흐름이 나빠짐으로써 신장으로부터의 소변까지의 출구인 신우와 신배가 부을 수 있고, 신장으로 만들어진 소변의 흐름이 막혀 소변 통로나 신장 속에 소변이 쌓여 확장한 상태인 수신증을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또, 결석에 의한 자극에 수반하여 혈뇨나 빈뇨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로 요로 감염을 방치하면 고열과 함께 심각한 패혈증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로 결석 검사 및 진단

먼저 소변 검사로 혈뇨 및 요로 감염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이후 CT나 초음파 검사, 엑스선 검사 등 복부의 화상 검사로 결석의 부위나 크기, 신장의 형태나 기능을 조사하기도 합니다. 보통 엑스선에 비치기 어려운 결석은 CT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간혹 조영 검사를 실시하는 케이스도 있지만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덧붙여 초음파 검사는 몸에 부담도 적고 작은 신결석과 요산 결석의 진단에 유용합니다.

요로 결석 치료

증상이나 폐색이나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작은 결석에 대해서는 보통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통증은 있지만 결석이 1cm 미만으로 그리 크지 않은 경우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더불어 진통약이나 결석의 배출을 용이하게 해주는 약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것을 기다리는게 일반적입니다.

만약 결석이 1cm보다 크거나, 쉽게 체외에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약물요법뿐만 아니라 체외에서 충격파를 주어 결석을 부수는 ESWL(체외충격파 결석파쇄술), 요도에 내시 거울을 넣어 결석을 부수는 TUL(경뇨도적 요관 결석 제거술), 신장에 구멍을 뚫어 내시경을 삽입해 결석을 파쇄해 직접 적출하는 PNL(경피적 결석) 제거술) 등의 3가지 수술요법을 선택하여 치료를 합니다.

예방/치료 후 주의

요로 결석은 재발률이 70%에 달할 정도로 재발이 많은 질환 때문에 일상생활에서는 수분을 확실히 섭취하는 것과 함께 균형 잡힌 식사가 예방법으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분 공급은 소변의 미네랄 농도를 낮추는 데에도 중요하므로 하루에 2 리터 이상 마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또한 소변 중의 옥살산이라는 물질이 굳어져 있기 때문에, 옥살산을 많이 포함한 시금치, 양배추, 녹차, 홍차 등을 섭취하는 것으로도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극단적인 제한은 영양 균형의 편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는 그리 바람직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