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건조증 증상 및 원인과 치료, 검사

구강 건조증

구강 건조증은 타액의 분비가 감소하거나 분비되지 않게 됨으로써 입안이 건조한 상태를 말합니다.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평균 타액의 양은 하루에 약 1~1.5리터이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 타액의 분비가 줄어들면 입안의 습윤도가 감소하고 건조하게 됩니다.

타액이 부족하여 타액의 항균 작용이나 자정 작용이 저하되어 치아나 치주병이 되기 쉬워지는 것 외에 구취나 점막의 감염증, 미각장애, 삼키는 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구강 건조증은 주로 약의 부작용이나 스트레스, 씹는 힘의 저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최근 환자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강 건조증의 원인

구강건조증의 원인은 정말 다양합니다. 질환에 의한 것, 약의 부작용에 의한 것, 탈수, 구호흡, 스트레스에 의한 것 등이 있어, 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는, 당뇨병이나 갑상선 기능 장애, 요붕증, 셰그렌 증후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약의 부작용에 의해 구강 건조가 생기는 경우도 많고, 항우울제나 항불안제, 강압제, 진통제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수분 섭취가 적거나, 설사나 구토 등으로 탈수나 전해질 이상을 일으킨 경우나, 일상적으로 스트레스가 있어 자율 신경이 흐트러지는 것도 구강 건조증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암 치료로 타액선에 방사선이 닿는 경우에는 타액선 조직이 장애를 받으면 타액이 나오기 어려워 구강 건조증을 일으키기 쉬워집니다. 다만 노화 자체는 반드시 구강 건조의 원인이 아니며, 노화에 수반되는 전신 질환이나 복용 약제가 타액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구강 건조증 증상

구강 건조증에 걸리면 건조에 의해 입안이 찌그러지거나, 싱싱한 통증을 느끼거나 하는 것 외에도 플라크가 쌓이기 쉬워져 구취가 강해집니다. 수분이 적은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지고,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지고, 맛을 느끼기가 어려워지는 한편, 혀에 균열이 생기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것도 구강 건조증의 흔한 증상입니다.

또한 입안의 자정작용이나 항균작용이 약해지므로 치아나 치주병에 걸리기 쉬워지고 감염증을 일으키기 쉬워집니다. 특히 곰팡이의 일종인 칸디다균이 증식하면 입안에 백반이 출현하기도 합니다.

구강 건조증 검사·진단

구강 건조증은 입의 건조한 정도나 증상, 치료 중의 병, 복용하고 있는 약 등의 문진과 더불어 구강 내의 건조 상태나 염증의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진찰합니다. 그 후, 정해진 시간에 얼마나 타액이 나오는지를 측정하는 검사를 행하게 됩니다.

타액량의 검사에는 껌을 씹으면서 나온 타액량을 측정하는 검 테스트나, 거즈를 씹어 흡수된 타액량을 측정하는 색슨 테스트 등이 있습니다. 구강 점막의 습윤도는 수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간혹 셰그렌 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혈액 검사나 타액선의 화상 검사, 타액을 분비하는 조직의 검사나 안과에서의 검사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구강 건조증 치료

먼저 입 호흡을 중단하고, 탈수를 방지하며, 스트레스를 줄이고 잘 씹는 등 전반적인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구강 건조증의 증상이 가벼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강 건조증이 발병 워인이 질병에 의한 것이라면 질병 자체의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대로 약물의 부작용이 원인이라면 가능한 경우 약물을 변경하는 등의 대증 요법이 중심이됩니다. 대증 요법으로서는, 보습 성분이 함유된 스프레이를 구강 내에 분무하거나, 보습 젤을 도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점막에 염증이 일어나고 있는 경우에는, 소염이나 살균 작용이 있는 함유제가 처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셰그렌 증후군과 방사선에 의한 구강 건조증의 경우에만 인공 타액이나 타액 분비를 촉진하는 약제를 사용합니다. 이외에도, 구강 건조증에 대한 치료와 함께 칸디다증(곰팡이의 일종이 증가한 상태)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방/치료 후 주의

구강 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타액이 나오기 쉬워지는 습관 만들기와 더불어 건조 대책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식사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제대로 씹는 것으로 타액의 분비가 촉진됩니다. 껌 등을 먹고 타액 분비를 촉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당분 섭취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내가 건조하면 구강 건조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가습기를 사용하여 방의 건조를 막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입호흡이 버릇이 되어 입을 닫을 수 없는 사람은 타액의 증발을 막는 마스크나, 보습제 배합의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입안을 건조시키지 않게 하면 좋습니다. 아울러, 귀의 전방에 있는 귀하선이나 턱과 혀아래에 각각 존재하는 턱하선, 설하선을 가볍게 마사지하면 타액 분비가 촉진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