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암 증상 및 원인과 치료, 검사

후두암

후두는 식도와 기도가 나뉘는 곳에 있으며 음식 등을 잘못 삼키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관을 말합니다. 좌우 한 쌍의 성대가 있어, 좌우의 성대에 둘러싸인 부분을 성문이라고 하고, 성문보다 위를 성문 상부, 아래를 성문 하부라고 부릅니다.

후두암은 암이 생기는 곳에 따라 성문암, 성문 상부암, 성문 하부암의 3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특히 많은 것이 성문암으로 후두암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발병의 피크는 60세 이상, 발병률은 10만명에 3명 정도로 낮은 수준이지만, 발병하는 성별은 압도적으로 남성이 많습니다.

후두암 원인

주요 위험 요소는 흡연과 음주입니다. 담배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면 항상 후두가 자극되고 있기 때문에 후두암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실제로 후두암 환자의 90%는 흡연자라고 합니다. 흡연과 음주 습관이 함께 있는 사람은 더욱 위험합니다. 그 밖에도 성대를 혹사하는 직업이나 석면을 사용하는 직업, 역류성 식도염에 의해 후두에 만성적인 자극이 더해지는 것도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후두암 증상

후두암은 암이 생기는 곳에 따라 초기 증상이 다릅니다. 성문암에서는 성대에 종양이 생기기 때문에 이른 시기부터 목소리가 느껴지고 낮은 삐걱거리는 목소리가 되는 등 목소리의 이상이 나타납니다. 후두암이 진행되면 성대가 좁아지기 때문에 답답해지거나 가끔 피가 섞이곤 합니다.

성문 상부암은 목에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거나 음식을 삼킬 때 항상 목의 같은 부분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성문 하부암은 진행될 때까지 증상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진행하면 목소리의 이상이나 답답함이 나타나게 됩다.

성문암은 이른 시기부터 증상이 나오기 때문에 비교적 발견되기 쉽지만, 성문 상부암과 성문 하부암은 어느 정도 진행하고 나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진찰이 지연되기 쉽습니다.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리가 1개월 이상 계속되거나 삼킬 때 걸림을 느끼거나 하면 빨리 진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후두암 검사 및 진단

우선 시진을 실시하여 후두 섬유 스코프를 코에 삽입하고 후두 내부를 직접 관찰하여 성문 부근에 암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목 주위를 만지는 촉진으로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지 조사합니다.

시진과 촉진의 결과, 후두암이 의심되는 경우는 병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 검사를 실시하여 악성 종양인지 여부를 확정 진단합니다. 시진과 촉진만으로 알 수 없는 심부를 보는 경우는 목(경부)의 초음파 검사나 CT·MRI에 의한 검사를 실시해 종양의 진행도와 퍼짐의 정도와 전이의 유무 등을 확인합니다.

후두암 치료

후두암 치료는 항암제에 의한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외과 수술의 3가지로부터 진행 정도나 신체 상태, 환자의 희망에 맞추어 결정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수술로 암의 병소 그 자체를 제거하는 방법이 종종 선택됩니다.

후두암 초기의 경우에는 암이 생긴 부위만을 제거하는 후두 부분 절제술을 실시합니다. 성대를 일부 남길 수 있기 때문에 목소리를 잃지 않지만 목소리의 질은 나빠지게 됩니다. 부분 절제로는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진행하고 있는 경우나 암이 광범위에 걸친 경우는, 목의 중앙을 절개해 후두 전 적출술을 실시합니다. 후두를 모두 적출하기 때문에 목소리는 나오지 않지만, 인공 발성기구와 식도 발성 등의 대체 음성으로 보완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진행성 후두암에서도 진행 정도에 따라 암의 병소와 성대 등 후두의 4분의 3 정도를 절제하는 후두아 적출술로 발성 기능을 남기는 방법도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는 조기 경우에 수행되는데, 진행된 암이라도 후두를 남기고 싶다는 환자의 희망이 강한 경우에는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을 병용하여 치료하기도 합니다.

예방/치료 후 주의

후두암 치료 후 발성과 삼키는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연습을 합니다. 이 때 음식을 삼키기 위한 재활과 혀와 목의 근육을 강화하는 훈련 등의 지도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후두 전 적출술에 의해 소리를 내지 못하면 식도를 진동시켜 발성하는 식도 발성이나 인공 후두의 설치를 하거나 전기로 진동하는 기계를 후후에 맞추는 것으로 발성하는 전기 후두 등의 훈련을 실시합니다. 또한 후두암은 치료 후 1~3년 이내에 재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외래 진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